한국지리학회지 제 13권 3호 통권 37호 2024_09월호 학회관리자 0 352 2024.10.10 16:49 교육의 생태환경적 전환과 지리교육에서의 방향성 탐색김다원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중등 지리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결정 요인 분석채민수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번역된 지리 개념 이해하기: 한국과 일본에서 쾨펜의 수목 기후를 중심으로이호욱 Understanding Translated Geographical Concepts: Focusing Köppen’s Tree Climates in Korea and Japan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위험인식 유형에 따른 기후변화 교육방안 모색홍서영 Exploring climate change education options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risk 전세 기대수익률이 매매 및 전세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박진백·김종근 Effects of Jeonsee Yield on Sales Transactions and Jeonse Contracts 소규모 지역에서 나타난 중심지 변화의 원인과 영향 -전북 완주군 운주면을 사례로-조성욱 Causes and Influence of Regional Center Change in Small Region - As an Example of the Unju-myeon in Jeonbuk -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제정에 따른 추진체계 운영방안 연구한승석·곽병조·조소진 Promotion System Operation Plan for the Enactment of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9월호(13권 3호) 표지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9월호(13권 3호) 표지 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9월호(13권 3호) 내지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9월호(13권 3호) 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