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학회지 제 13권 4호 통권 38호 2024_12월호 학회관리자 0 180 01.06 18:12 자연기반해법의 지리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함경림 Exploring Educational Applic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in Geography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AI 챗봇 활용과 학습 데이터 분석: 학생들의 질문 유형 및 인식을 중심으로이소영 An Analysis of AI Chatbot Utilization and Learning Data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Examining Student’s Queries and Perceptions 고등학교 여행 지리 과목에서의 ‘여행의 의미오정준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Subjects 지리 답사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논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조성욱 Geography Educational Effects of Geographic Fieldwork: Focus on the Cognitive Aspect 독일 Klafki의 Didactical Analysis와 지식론의 지리교육에의 적용 방안서태열 Klafki’s Didactical Analysis, Theory of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to Geography Education IB 교육과정 설계와 IB 프로그램 운영 구조에서의 지역성 검토정승모·권상철 Examining the Locality of IB Curriculum Design and IB Operation Structure 우리나라 나마의 분포와 서식처로서의 가치최광희·고다해·이재호 The Distribution of Gnammas and Its Value as a Habitat in South Korea 빙기 이후 황강 하류부의 지형 발달신원정·김종연 Geomorphic Development of Lower Reached of Hwanggang River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s 경북도청 신도시 지역의 변화와 신도시 주민의 거주 만족도 및 지역 정체성 인식이재복·안재섭 Changes in the New Town of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and Resi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gional Identity 스마트 도시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추진 방향김익회 The Policy Direction for Advancing Smart Cities based on Digital Twin YOLOv5를 이용한 항공 영상에서 폐경지 후보지 탐지최호연·홍지화·김용현·송지숙·박은수 Detection of Abandoned Fields in Aerial Images using Deep Learning (YOLOv5) 한국의 도시 및 농산어촌 장래 고령인구 전망과 비교김오석·정재헌·조남욱·강승필 Projecting Future Older Adults of South Korea’s Urban and Rural Areas 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12월호(13권 4호) 표지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12월호(13권 4호) 표지 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12월호(13권 4호) 내지한국지리학회지 2024년 12월호(13권 4호) 내지